선교사 170개국 2만7436명 파송… KWMA 지난해 말 현재 현황 공개/교단·단체 227곳 참여… 전년比 231명↑

 

 

한국교회가 전 세계에 2만7436명의 선교사를 파송한 것으로 집계됐다. 파송 선교사가 가장 많은 권역은 동북아시아이며, 주요 사역으로는 교회 개척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는 8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안디옥성결교회(신화석 목사·사진)에서 제28차 총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한국 선교사 파송 현황’을 보고했다.

KWMA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교단 선교부 및 선교단체 227곳이 파송한 선교사는 170개국 2만7436명(이중 소속 제외)이다. 전년보다 231명 증가한 수치다.

권역별로는 일본과 중국, 몽골 등 동북아시아가 6319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베트남과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5893명), 미국 등 북아메리카(3075명) 등의 순이다.

한국 선교사가 600명 이상 활동하는 ‘10대 파송 국가’에는 동북아시아 A국을 비롯해 미국과 필리핀, 일본, 태국, 캄보디아 등으로 전체 선교사 수의 50.7%(1만4502명)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선교사들의 주요 사역(중복 집계)은 ‘교회 개척’이 가장 많다. 153개국에서 1만4624명이 활동 중이다. 이어 제자훈련(141개국·9663명), 복지·개발(82개국·2017명), 캠퍼스(63개국·1954명) 사역 등의 순이다.

KWMA는 “한국 선교계가 2000년 이후 주력한 일은 양적·질적 성장의 균형을 찾는 것이었다”면서 “이제는 파송 선교사 수의 증감에 민감하기보다는 선교의 질적 성장을 위해 다 함께 힘을 쏟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총회에서는 신화석 목사가 2018년 KWMA 신임 대표회장으로 취임했다. 신 신임 회장은 개회예배에서 ‘선교의 본질회복’을 제목으로 설교하면서 “사도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본질에 충실한 선교로 돌아가자”고 권면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880727&code=23111117&sid1=chr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주일학교 영어교사] 어린이 영어 성경 추천

 

어린이 영어 성경: 교사들을 위한 자녀교육

 

오늘날 어린이를 위한 성경공부 교재나 어린이용 성경이야기를 잠시만 훑어 보면, 너무 흥미 위주이고 내용에 있어서는 피상적인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어린이에게 성경을 더 잘 이해하기 보다는 오히려 성경이해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재미가 어린이에게 우상이 되어버린 오늘날, 성경도 재미있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교사들이 많이 갖는다. 물론 성경이야기가 지루해서야 되겠는가? 하지만, 재미에 연연하다 보면, 아이들은 더 재미있는 것을 추구하고 결국 성경의 진면목을 깨닫게 하는데는 실패하고 만다.

 

어린이용 성경으로 개혁신학의 입장에서 쓰여진 2개의 책을 소개하고자 한다. 하나는 Catherine F. Vos가 쓴 The Child's Story Bible이다. 캐서린은 그 유명한 개혁 성경신학자인 게할더스 보스의 아내이다. 보스가 "성경신학 (Biblical Theology)"를 통해 목회자와 신학생에게 성경을 가르쳤다면, 캐서린은 이 책을 통하여 수많은 어린이들에게 성경을 가르쳤다. 캐서린이 1937년에 하나님께 갔음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책은 아직도 수많은 어린이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다음으로 추천하는 책은 Gertrude Hoeksema가 쓴 Come Ye Children이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위의 책 보다 더 추천한다. Gertrude 는 그 유명한 신학자 헤르만 훅스마 (Herman Hoeksema)의 딸이다. 그녀는 수십년간 기독교 교육에 헌신하였으며, 이 책은 그 사역의 최종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 한국 선교사 부인의 노력으로 스리랑카 언어로 일부 번역이 되어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또한 그와 동시에 정확하게 쓰여졌다는데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미지 언어를 사용함으로 성경에 대한 상상력을 자극시킨다.

 

몇 가지 예를 들면, 창세기 1장에 "성령이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는 구절이 있다.[여기서 운행한다는 구절은 새가 공중에서 회전하는 것을 지칭한다]. 많 이 무시되고 있지만, 창조에 있어서 성령의 사역은 매우 중요하다. 이것을 아이들에게 어떻게 설명할까? 이 책에 따르면, 성령은 마치 암탉과 같다. 암탉이 알을 품고 시간이 지나면 병아리가 되듯이, 세상이 생기전에는 알과 같이 있었는데 성령의 사역을 통해서 생명으로 가득한 세상이 되었다는 식으로 설명한다.

 

, 식물에 대한 창조를 설명하면서, 하나님이 빛을 만드시고 식물을 만드셨는데, 식물이 빛을 바라보면 살아가야 하듯이, 하나님의 자녀인 우리들도 빛 되신 예수님을 바라보며 살아가야 한다고 가르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선교사 입국과 복음의 전래(1884 - 1900)

 

1884년 들어서 한국선교를 위한 미국에서의 준비는 가속화 되었다. 감리교는 아편젤러와 스크렌톤을 한국 선교사로 내정하였고, 장로교는 언더우드를 한국 선교사로 임명하고 중국에서 활동하던 알렌을을 한국 선교사로 전임시켰다. 그리하여 1884년 9월 20일 미국 북장로교 선교회 소속 호레이스 알렌이 가장 먼저 한국에 입국하였고, 이어 1885년 4월 5일 북장로교 선교회 언더우드와 미 감리교 선교회 아편젤러가, 5월 1일에는 미 감리교 선교회 스크랜톤이, 그리고 6월 21일에는 북장로교 선교회 헤론이 입국하여 북장로교 선교회와 미 감리교 선교회가 가장 먼저 한국선교를 개시했다.

 

그 후 ·1889년에 호주 장로교가, 1890년 성공회가, 1892년에는 남장로교가 1896년에는 남감리교와 침례교의 전신 동아 기독교가, 그리고 1898년에는 캐나다 장로교, 러시아 정교회, 플리머스 형제단이 한국선교를 시작했다. 1904년에는 안식교가, 1907년에는 성결교의 전신 동양선교회가, 그리고 그 이듬해 1908년에는 구세군이 한국선교를 시작했다. 이리하여 한국은 알렌이 입국하던 1884년부터 구세군이 한국선교를 개시하던 1908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개신교을 대표하는 장,감,성을 비롯한 수많은 개신교 교단들이 한국선교를 동시에 착수하는 특별한 나라가 되었다.

 

1884년에 입국한 알렌이 첫 개신교 선교사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면 그 이듬해 입국한 언더우드는 감리교의 아펜젤러와 더불어 개신교를 대표할 수 있는 선교사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 같다. 해리로즈가 표현한 것처럼, 언더우드는 “한국선교의 아버지이자 많은 개별 선교사들을 한국에 오개 한 지도자 ”였으며, 스피어 박사가 그를 가리켜 언급한 것처럼 “매번 그가 미국에 올 때 선교의 횃불을 드높이 불태웠고, 그는 지칠 줄 모르는, 참을성 있는, 불굴의 사람이었다.” 그는 실로 한국선교를 위해 하나님이 특별히 예비하신 시대를 앞서 간 선각자 한국의 근대선교의 아버지였다.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아침 아편젤러, 한국을 시찰하기 위해 입국한 일본 장로교 선교회의 스쿠터박사, 테일러 박사와 나란히 전선에 입국한 언더우드 선교사는 처음 얼마간은 알렌의 노력으로 개원된 제중원에서 화학을 가르치면서 한국선교를 조용히 준비하고 있었다. 그는 한국의 복음화를 위해 하나님이 보내 주신 위대한 선교사였다. 한국선교 반세기를 정리하는 1934년, 희년기념식에서 사무엘 마펫 선교사가 지적한 것처럼 “한국선교 초기 언더우드는 모든 면에서 끈기 있는 지도자였다.

 

1884년 북장로교 소속 선교사 알렌이 입국하고 그 이금해 같은 북장로교 선교사 언더우드와 미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가 입국한 후 세계 각국의 선교사들이 은둔의 나라 조선에 속속 입국했다. 언더우드가 입국한 얼마 후 1885년 6월 의하 헤론부처가 입국했고, 1887년 7월 4일에는 후에 벙커의 아내가 된 앨러스가 입국해 한국에 이북구한 북장로교 선교사는 7명으로 늘어났다. 1887년 앨러스가 입국할 때, 뉴욕 유니온 신학교 출신 세 사람, 헐버트, 벙커, 그리고 길모어도 입국했는데 이들은 한국 정부의 요청으로 미국 정부가 파송한 선교사들로 후에 한국선교에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개혁파 복음주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맥코믹신학교, 프린스톤신학교, 리치몬드 유니온신학교, 토론토대학, 그리고 호주의 신학교 출신 장로교 선교사들은 물론이고 드루신학교를 비롯해 웨슬리안 복음주의 전통에서 카우만이나 길보른 모두 성경의 권위를 철저하게 확신하면서도 복음의 열정에 투철한 복음주의자들었다. 이들은 19세기 “복음주의 전통”속에서 교육을 받았고, 당시 영미를 지배했던 복음주의 이상을 공유했으며, 그리고 그런 방향에서 한국선교를 이끌었다. 1905년 복음주의 연합공의회를 조직 이들이 교파를 초월해 한국개신교 복음주의 연대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것도 그런 이유에서라고 할 수 있다.

 

선교사들의 선교 정책은 한국인에게 개인 구원의 영역을 넘어 사회, 문화전반에 영향을 미쳐 복음을 통한 문화 변혁의 한 모델을 보여 주었다. 매켄지가 한국의 독립운동에서 한국에서 선교사들은 “기독교 개척자들이었을 뿐만 아니라 문명의 개척자들이었다.”고 말한 것은 결코 과장이 아니었다.

 

일본은 한국 내의 개화파들을 자신들의 세력 확장을 위한 도구로 이용하려고 하였고, 중국은 한국내의 보수주의자들을 지원하면서 자신들의 세력을 확대하려고 했다. 오랫동안 은둔의 나라로 알려진 한국을 자신들의 소유로 삼으려는 열국에 의해 한반도는 전에 없이 동요되기 시작했다. 한반도가 강대국들 사이의 전략적인 위치에 있다는 것과 한반도가 스스로를 방어하기에는 너무도 작다는 것은 불행이었다. 그러므로 한국은 더 강력한 이웃 국가들에 의해 끊임없이 침략을 당했고 강대국의 국제적인 권력 투쟁에서 힘없이 볼모가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한국을 둘러싼 열국의 한국 쟁탈전은 19세기 중엽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고, 반강제적으로 체결된 강화도 조약은 그와 같은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이 열국에 의해 침략을 당하기 시작한 출발이었다. 제임스 게일이 전환기의 한국에서 언급한 대로 한국은 개항과 더불어 정치, 경제적으로 전환기를 맞고 있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