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 / 조선에 온 두번째 개신교 선교사

 

비극으로 끝난 토머스 선교사 숭고한 도전

귀츨라프에 이어 한국을 방문한 두 번째 개신교 선교사는 회중교회의 토머스 목사(Rev. Robert Jermain Thomas, 1840∼1866)였다. 웨일스의 회중교회 목사 아들로 출생한 토머스는 아홉 살 때 아버지의 목회지를 따라 하노버로 이사했다. 1859년에는 런던대학교 뉴칼리지에 입학하게 되는데, 언어능력이 탁월했다.

이미 라틴어, 그리스어 등 고전어와 프랑스어 등 유럽 언어를 이해하고 있었다. 1863년 이 학교를 졸업한 그는 그해 5월 29일 캐롤라인 갓프리와 결혼하였고, 그해 6월 4일 하노버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7월 21일에는 런던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파송으로 중국으로 향하게 된다. 그의 나이 23세였다.

그가 중국선교를 지원한 것은 중국이 런던선교회의 중요한 선교지역이기도 했지만 인도와 중국은 당시 젊은이들의 관심의 대상이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마도 런던선교회의 첫 중국 파송 선교자인 로버트 모리슨(Robert Morrison, 1782∼1843)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민경배 교수는 토머스가 귀츨라프의 조선 방문기를 읽고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토머스의 제1차 조선 방문

토머스는 4개월에 걸친 여행 끝에 1863년 12월 부인과 함께 상하이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사역은 길지 못했다. 중국에 온 지 4개월 만에 아내가 사망하였고, 런던선교회 상하이 지부장인 무어헤드와의 관계도 불편했다. 1864년 12월 런던선교회를 사임한 그는 조선에서 천주교도들이 심한 핍박을 받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때 스코틀랜드성서공회의 파송을 받고 만주에서 일하고 있던 알렉산더 윌리엄슨과 접촉하게 되었고, 그의 주선으로 1865년 조선 입국을 시도하였다. 즉 토머스는 9월 4일 산둥성 지푸를 떠나 ‘허락되지 않는 땅(terra incognito)’으로 향했고, 그달 13일 한국의 서해안에 도착하였다. 어떤 기록에는 이곳이 황해도 옹진 자라리(紫羅里) 근포(近浦)였다고 말한다. 한글을 공부하며 한문 쪽복음서를 나누어 주며 은밀하게 전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 2개월 반 동안 조선에 체재한 후 1866년 1월 초 베이징으로 돌아갔는데, 이것이 제1차 조선 방문이었다.

토머스의 제2차 조선 방문

베이징으로 돌아간 그는 조선의 사신들을 만나 교제하기도 했다. 이들을 통해 한글을 배웠고 조선의 천주교 상황에 대한 정보를 듣게 되었다. 비록 상당한 위험이 상존했으나 그는 조선에서의 선교활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던 중 조선으로 가는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General Sherman)호에 승선하고 조선으로 향하게 되었다. 이 범선은 톈진(天津)에서 화물을 내려놓은 후 

‘조선이 필요로 할’ 면직의류, 유리 및 양은 그릇, 천리경(千里鏡), 바늘 등을 싣고 통상 개시의 가능성 유무를 시탐하기 위하여 파견된 무장 상선이었다. 이 배는 1866년 7월 29일 톈진을 떠나 8월 9일 지푸를 거쳐 조선으로 향하였는데, 이때 토머스는 통역관 및 항해 안내자의 자격으로 승선했다. 동시에 스코틀랜드성서공회(NBSS)의 파견원 자격이기도 했다. 승선원은 미국인 3명, 토머스를 포함한 영국인 2명, 그리고 중국인과 말레이시아인으로 구성된 19명 등 총 24명이었다. 이 배는 백령도를 거쳐 평양으로 항해해 8월 20일 대동강 하류에 있는 강서군 초리면(草里面) 포리(浦里)에 닻을 내렸다. 여기서 하루를 지낸 후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백령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문성경과 전도 문서를 나눠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이 토머스의 제2차 조선 방문이었다.

토머스의 ‘무모한 도전’

제너럴셔먼호는 교역을 요구했다. 조선 관리는 국법에 의해 금지된 점을 말했으나 배는 8월 22일 평양 만경대 근처의 두로도를 지나 27일에는 한사정(閑似亭)으로 향했다. 셔먼호는 조선 영토에 불법으로 침입한 경위를 조사하기 위해 온 조선인 관리 이현익(李玄益)을 인질로 잡고 발포하는 등 행패를 부리며 평양성 수비병과 대치하였다. 대동강 하류로 이동하던 중 양각도(羊角島) 서쪽 쑥섬에서 이 배는 좌초되어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수비병의 화공(火攻)으로 배는 불탔고 선원들은 살해되었다. 이때가 9월 4일이었다. 토머스 목사도 이때 사망했다. 그의 나이 26세였다. 토머스는 두 차례의 조선 방문을 통해 약 4개월간 조선 영토에 체재했으나 구체적인 성과는 없었다. 물론 토머스의 전도와 그 결실에 관한 몇 가지 확인할 수 없는 주장들이 있으나 신뢰하기 어렵다. 토머스가 조선으로 왔던 때는 천주교 금교령이 내려지고 12명의 프랑스 신부 중 9명이 체포되어 처형당하는 등 천주교 박해가 심각했던 때였다. 이런 박해 상황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장한 상선을 타고 입국한 것은 무모한 도전이었다.

어떤 이는 토머스 목사가 무장한 상선을 타고 입국하였고 한국에서 구체적인 선교사역이 없었다는 점에서 순교자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비록 무모한 도전이기는 했으나 그 자신은 선교사이기를 원했다. 윌리엄슨으로부터 지원받은 ‘많은 양의 책’을 전파하고자 했던 것은 분명했다. 비록 뚜렷한 결실은 없었으나 그는 은둔의 나라에 대한 열정을 가진 선교사였다. 그래서 그는 ‘한국에서의 첫 개신교 순교자’로 불린다. 제너럴셔먼호는 미국 국적의 배였기에 미 해군은 이 배의 행방을 추적하였고, 뒷날 신미양요(辛未洋擾)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한국교회사 / 개신교, 한국과 접촉하다


1832년 ‘짧은 방문’은둔의 땅에 복음 씨앗

서양인들은 한국에 대한 두 가지 상징적인 표현을 사용해 왔다. 첫째는 ‘조용한 아침의 나라(Land of Morning Calm)’였다. 한국의 옛 이름 ‘조선’(朝鮮)의 영역(英譯)이라고 할 수 있지만 동적이기보다는 정적인 19세기 조선에 대한 사실적 표현이었다. 다른 하나는 ‘은둔의 나라(Hermit Kingdom)’라는 표현이다. 일본 동경제국대학 동양학 교수였던 윌리엄 그리피스(William Griffis)가 처음 사용한 이 표현 또한 폐쇄적인 조선에 대한 외국인들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었다.

조선말기 이양선(異樣船)이라고 불렀던 서양 선박이 출몰하였고, 탐험 혹은 측량이라는 이름으로 외국 함선이 한반도 연해로 접근해 오며 통상을 요구하자 쇄국은 우리 스스로를 지키는 방아책(防我策)으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믿음에 확신을 더해 준 사건이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에 침입한 병인양요(1866),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기화로 미국의 아시아 함대를 강화도에 파견함으로 조선 관군과 충돌한 신미양요(1871), 독일 상인 오페르트의 남연군 묘 도굴사건(1869) 등이었다. 천주교의 박해도 따지고 보면 이런 서양을 배척하는 척양(斥洋)의 차원에서 이루어진 방아책의 일환이었다. 

대원군은 척화교서(斥和敎書)를 발표하고 서울 종로를 비롯하여 전국 곳곳에 척화비를 세우며 쇄국의 성을 쌓았으나 은둔의 나라로 향하는 복음의 빛을 거역할 수는 없었다. 조선은 약 10여 년간 지켜오던 쇄국의 녹슨 빗장을 열고 개항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때가 1876년이었다. 이 개국(開國)은 한국역사에서만이 아니라 한국교회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역사의 변화의 시작이었다. 천주교에 이어서 기독교(개신교)가 서서히 한국으로 전파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개신교 복음의 사도 한국으로  

비록 한국에서 개신교와의 보다 구체적인 접촉은 개항 이후에 이루어지지만 그 이전에도 조선으로 향하는 복음의 사자들이 없지 않았다. 그 첫 인물이 1832년 7월 우리나라 해안으로 들어온 칼 귀츨라프(Karl Friedrich August Gutzlaff, 1803∼51)였다. 그는 우리나라에 온 첫 개신교 선교사였다. 내한 당시 귀츨라프는 중국 선교사였으나 그의 사역지는 중국만이 아니라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태국, 일본, 티베트와 중앙아시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이었다. 그는 한자문화권에서는 곽실렵(郭實獵)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중국을 사랑한 자(愛漢者) 혹은 선한 덕을 행하는 자(善德者)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귀츨라프는 독일 북부 프로이센 제국의 프리츠에서 출생한 유태계 독일인으로 루터교 목사였다. 경건주의의 지도자였던 프랑케가 설립한 학교에서 수학했다. 19세가 되는 1821년 4월부터 18개월 동안 베를린 선교신학교에서 공부했던 그는 경건주의의 깊은 영향을 받게 되고 선교에 대한 이상을 갖게 된다. 그가 접한 ‘바젤 선교잡지’도 그의 선교적 삶에 영향을 주었다. 그는 후에 베를린 대학에서도 짧은 기간 공부하게 되지만 언어적 재질이 있어 6개 국어를 작문할 수 있었고, 12개국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고 회고한 바 있다. 루터교 목사로서 선교사의 길을 갈망했던 그는 영국에서 모리슨 목사를 만난 이후 동양선교에 관심을 가졌고 1823년 ‘화란선교회’ 소속 선교사가 되었다. 

독일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다

1826년 7월 이후에는 현재의 자카르타인 바타비아(Batavia)에서, 1828년에서 1831년까지는 현재의 태국인 사이암(Siam)에서, 그리고 1831년 이후에는 중국선교사로 일생 동안 봉사했다. 중국선교사인 그는 1831년과 1832년 그리고 1833년, 세 차례에 걸쳐 중국 해안을 탐색하였는데 한국 해안에 도착한 시기는 그의 두 번째 항해 때인 1832년 7월이었다. 상당한 의술까지 겸비했던 그는 동인도회사의 통역 겸 선의(船醫), 선목(船牧)으로 영국 상선 ‘로드 암허스트(Lord Amherst)’호를 타고 우리나라에까지 오게 된 것이다. 1832년 2월 27일 광둥(廣東)을 출발하여 타이완, 상하이 및 산둥반도를 거쳐 황해도를 가로질러 7월 17일 오전 10시경 황해도의 서해안 장산곶(長山串)에 도착하였다. 22일에는 녹도(鹿島)와 인근의 불모도(不毛島)를 거쳐 7월 25일 충남 보령시 오천면의 고대도(古代島)에 정박했다. 

귀츨라프는 홍주목사 이민회 등 조선 관리들에게 조선국왕에게 통상을 청원하는 서한과 선물을 보냈다. 선물은 한문으로 번역된 두 권의 성경과 전도책자로 추정되는 26종의 도리서(道理書), 그리고 망원경 등인데, 이를 순조왕에게 진상하도록 전달했다. 이들은 조정의 회신을 기다리는 동안, 곧 7월 25일부터 8월 11일까지 17일간 고대도 내항에 체류하면서 주민들에게 한문성경과 전도 문서를 배포했다. 또한 감자를 심어주고 재배법을 가르쳐 주기도 했다. 특히 이때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단편적인 것이지만 이것이 최초의 한글성경 번역이었다. 이것이 한국과 개신교 간 최초의 접촉이었다. 

조정으로부터 통상이 불가하다는 통보를 받은 귀츨라프 일행은 이곳을 떠나 남하하여 8월 17일 제주도 연안을 지나 오키나와를 거쳐 마카오로 돌아갔다. 귀츨라프가 우리나라에 체류한 기간은 꼭 한 달 정도에 지나지 않지만 이때의 방문 기록은 그의 ‘항해기’(Journal of the three voyages along the cost of China, in 1831, 1832 and 1833. With notices of Siam, Corea and Loo-Choo island)에 잘 나타나 있다.

(고신대 교수·역사신학)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토마스 선교사, 조선에 온 목적은 성경 보급”

순교 150주년 기념 심포지엄서 ‘제국주의’ 폄하 시각에 반박

 


박용규 총신대 교수는 5일 서울 동작구 총신대에서 열린 ‘토마스 선교사(1839∼1866·사진) 순교 15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토마스 선교사는 복음을 전하기 위해 조선에 입국했고 마지막까지 복음을 전하다 숨졌다. 그렇다면 그를 순교자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역사적 평가: 토마스, 그는 순교자가 아닌가’라는 발제문에 “평양 선교의 개척자인 사무엘 마펫에 따르면 그로부터 성경을 전해 받은 여러 사람이 예수를 믿었고, 그 복음이 씨앗이 되어 교회까지 세워졌다”며 “그의 죽음 이후 선교사들이 공식적으로 입국하고 적극적인 선교가 가능해졌다면 우리는 그를 순교자로 평가하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은선 안양대 교수는 ‘토마스 선교사의 순교와 한국선교의 연관성’이란 발표문에서 “토마스의 입국 목적은 성경을 널리 보급하는 것이었다”며 “선교사적, 신앙적 관점과 한국교회 기원이라는 관점에서 그의 죽음의 참된 의미를 계승하자”고 제안했다. 그동안 교계 일부에서는 토마스 선교사에 대해, 침략주의에 근간을 둔 ‘힘의 선교’를 시도했다고 비판했다.


1863년 영국 런던선교회 선교사로 중국 상하이에 파송된 토마스 선교사는 1865년 조선 선교를 위해 두 달여 조선 연안을 탐사했다. 이듬해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에 통역자로 승선해 중국 지푸항에서 조선으로 입국했다. 제너럴셔먼호는 1866년 9월 대동강에서 조선 관군의 공격을 받아 불탔고 토마스 선교사 역시 관군에 붙잡혀 목숨을 잃었다. (2016.9.5. 국민일보/ 강주화 기자) /국민일보 httt://www.kmib.co.kr

 

​토마스 목사 ‘순교자’ 여부 논란 재점화‘

토마스 선교사 순교 150주년 기념 심포지엄’ “순교자 맞다” 반박

 

150년 전인 1866년 8월 제너럴셔먼호를 타고 입국했다 그해 9월 관군(官軍)에 의해 살해당한 토마스 목사(1840-1866)의 죽음이 순교냐 아니냐에 대한 논란이 재가열되는 양상이다.

 

토마스 목사는 1980년대까지만 해도 선교사로 불리며 한국교회로부터 순교자로 이해돼 왔다. 비록 배에서 내려 복음을 전한 적은 없지만 그가 선교를 목적으로 왔고, 죽으면서 넘겨 준 성경으로 인해 여러 사람이 예수를 믿었다는 기록 때문이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여기에 대한 도전이 강하게 일기 시작했다. 이만열 교수(전 국사편찬위원장)가 1985년 ‘한국교회사특강’에서 토마스의 죽음을 순교로 평가하는 것에 강한 이의를 제기한 이후 올 6월 옥성득 박사에 이르기까지  여러 학자들이 동조하고 나섰다.

 

토마스 목사의 제너럴 셔먼호 승선을 제너럴 셔먼호의 입국과정 및 입국 후 행동과 동일시해, 중무장을 하고 불법으로 들어온 제국주의 침략선인 제너럴 셔먼호를 타고 온 사람이 어떻게 선교사일 수 있느냐는 것이다. (당연한 논리로 순교자일 수는 더더욱 없다는 것이다.)

 

토마스 목사가 죽으면서 성경을 전해고, 이로 인해 예수를 믿은 사람들이 나타났으므로 순교자로 봐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그것이 기록된 역사적 사료에 신빙성이 없다는 이유로 거부한다.

 

참고로 이들은 이만열을 비롯해서 김승태, 한규무, 김명호, 옥성득 등 한국기독교역사학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굳이 분류한다면 상대적으로 진보적 계열의 민족주의적인 국사학자들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기독교사연구소(소장 박용규)가 5일 서울 사당동 총신대 종합관에서 ‘토마스 선교사 순교 150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열고 다수의 발제자를 통해 ‘토마스 목사는 순교자로 봐야 한다’며 반박에 나섰다.

 

이날 발제에 나선 박용규 교수(총신대), 박명수 교수(서울신대), 이은선 교수(안양대) 최상도 교수(호남신대) 등은 복음을 전파하려는 선교 열정을 가지고 왔던 점이 다른 요소들로 인해 제대로 평가되지 않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박용규 교수는 “19세기 서구 선교사들이 제국주의적 사고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 않다”면서 “그러나 그런 제국주의적 영향 때문에 토마스의 입국이 선교적 동기가 아니라거나 그의 활동이 선교활동이 아니었다거나 그의 죽음이 순교가 아니라는 주장은 상당히 주관적 평가며 또 다른 비약”이라고 반론했다.

 

이영식 박사는 “저들은 ‘토마스가 조선에 복음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사망한 것은 맞지만, 조선인들은 그것 때문에 토마스를 살해한 것이 아니’라면서 순교를 부정한다”면서 “그러나 이 논리라면 죽이는 측의 동기나 이유가 순교냐 아니냐를 좌우하게 된다. 즉 어떤 선교사가 식인종이 있는 곳으로 가서 사명을 감당하다 죽임을 당한다면, 이 경우도 원주민들의 입장에 의해서만 순교냐 아니냐를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박사는 “또한 저들은 토마스 선교사의 최후의 장면에서 오문환의 증인들을 통한 증언이나 기존의 전통적인 한국교회의 인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데, 별다른 자료 제시 없는 문제제기는 혼란만을 제기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박용규 교수는 “저들은 토마스의 죽음의 극적 장면의 역사성을 문제 삼고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 표면적인 이유”라면서 “토마스를 침략적 제국주의를 배경으로 한 힘의 선교의 전형으로 이해하는 이만열-한규무-옥성득의 시각은 공교롭게도 제너럴 셔먼호를 바라보는 진보주의 국사학계의 시각, 심지어 북한의 시각과 상당히 일치한다”고 밝혔다.

 

이에 이은선 교수도 “토마스 목사의 죽음을 제국주의 침략의 앞잡이라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순교라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민족주의 사관, 반제국주의사관, 후기 식민주의 사관의 입장”이라며 “선교사적인 관점과 신앙적인 관점과 한국교회의 기원으로서의 관점에서 가지는, 그의 순교로서 참된 의미를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2016.9.6. 당당뉴스/ 이병왕 기자)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