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 한국에서 기독교 부흥 배경

 

기독교와 민족주의

 

앞에서 한국에서의 급속한 기독교 성장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 1895년 이후의 급속한 성장은 청일전쟁 이후 민족자강의식이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사실 교회 성장은 어느 한 가지 요인으로만 설명할 수 없는 복합적인 요인이 있다. 한국이라는 동일 문화권에서조차도 지역에 따라 기독교 수용 정도가 달랐다는 사실은 이 점을 암시한다.

 

일반적으로 한국교회 성장의 원인으로 다음의 몇 가지가 지적되어 왔다. 가장 대표적인 설명이 선교정책설인데, 한국교회 성장의 주된 요인이 선교사들의 고유한 선교정책 때문이었다는 주장이다. 복음전도와 함께 시행된 교육, 의료 활동이 영향을 끼쳤고, 1890년대 이후 채용된 네비우스 정책과 선교지역 분담정책이 한국교회 성장의 주된 요인이라고 말한다. 소열도(Stanley T Soltau), 왕영덕(Alfred W Wasson), 곽안련(Charles A Clark) 등 선교사들이 이런 입장을 대변한다. 김양선 김재준 강근환 등도 이에 동조한다. 그러나 정대위(鄭大爲)는 선교사 중심의 선교정책설에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한국교회 성장을 한국의 기층문화인 샤머니즘, 곧 무교적(巫敎的) 세계관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인 결과로 주장한다. 그는 예일대학교에 제출한 박사학위 청구논문 한국 사회에서의 종교혼합 현상’(Religious Syncretism in Korean Society, 1959)에서 한국교회의 급속한 성장은 샤머니즘과 기독교와의 종교혼합 현상의 결과였다고 주장했다. 박봉배, 스펜서 팔머(Spencer Palmer)도 비슷한 입장이다.

 

한국교회 성장의 몇 가지 원인

 

이와는 달리 감리교적 배경의 윤성범, 유동식 등은 한국인의 심성(心性) 혹은 종교성(宗敎性)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사회학자 정재식은 한국 개신교의 성장은 19세기 한국의 정치적 상황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지형학적 위치 때문에 외세의 침략을 받아 왔고, 정치적 환경에서 조성된 사회적 불안과 혼란은 종교적 욕구를 강화시켜 왔다고 주장한다. 쉬리어, 왓슨(Alfred W Wasson), 서고도(William Scott), 라토렛(K. S. Latourette) 등도 이 견해에 동조하고 있다. 이런 입장은 교회성장은 그 시대의 역사 환경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역사환경론(歷史環境論)과 동일하다.

 

정치적 정황론이 정치적 상황이라는 한 측면을 강조한다면 역사환경론은 정치적 상황뿐 아니라 그 시대의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요인을 포괄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주장이 나름대로 설득력을 지니지만 한국에서의 기독교 수용과 성장에 대한 논의에서 간과할 수 없는 한 가지 기본적 전제는 한국이 일제의 식민 지배 하에 있었다는 사실이다. 직접적으로 일제의 통치를 받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이후지만, 기독교가 전래될 당시 한국은 점증하는 일제의 침략 하에 있었다. 병자수호조약의 체결(1876)을 통해 조선 진출의 발판을 확보한 일제는 청일전쟁과 노일전쟁에서 승리함으로 한반도에서 청과 러시아 세력을 물리쳤다. 1905년에는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이듬해 통감부를 설치하였다. 1910년에는 한국을 병합하였다. 이때부터 조선은 일제의 식민지가 되었고, 흔히 ‘15년 전쟁이라고 부르는 만주사변(1931), 상해사변(1932), 중일전쟁(1937) 그리고 태평양전쟁(1941)을 거쳐 1945년까지 일제의 지배를 받았다. 이와 같은 일제의 식민 지배 하에서 기독교가 한국에 전래, 수용되어 갔다. 말하자면 일제의 강압적 식민 지배와 수탈 과정에서 기독교는 서구 문화나 교육, 의료 활동 등을 통해 민족의 필요를 채워주고 있었다.

 

기독교와 민족주의의 결혼

 

정리하면 우리나라는 아아(亞阿) 제국의 다른 나라와는 달리 기독교 국가의 식민 통치를 받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기독교 국가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나라에서의 민족주의는 대체적으로 반()기독교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기독교 신자가 되는 것은 어떤 점에서 반민족적 행위로 인식되기까지 했다.

 

그 대표적인 나라가 인도네시아였다. 300여년간 네덜란드의 지배를 받았던 인도네시아의 민족주의는 두 가지 성격이 있는데, 첫째는 반 외자(外資)운동이었고, 다른 하나는 반기독교운동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 반대적 상황이었다. 우리는 반기독교적인 일본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민족주의는 기독교 신앙과 융합될 수 있었다. 일제에게 우리는 수탈을 경험했으나, 기독교는 우리에게 수혜자였다. 기독교 신앙은 반일적 국민의식의 정신적 기초를 제공하였고, 때로 그리스도인과 교회는 반일운동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그래서 교회는 민족과 유리된 배타적 집단이 아니라 민족의 아픔과 고난의 동반자였다.

 

선교사였던 존스(G. H. Jones)기독교 신앙에 대한 실질적 집착보다 더 강력한 애국충군의 보루는 찾기 어렵다고 평가했을 만큼 서양인의 눈에도 이런 현실이 읽혀지고 있었다. 이런 역사적 상황에서 기독교와 민족주의는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기독교적 민족주의(Christian nationalism)’을 형성하게 된다. 김세윤은 이런 특수한 상황을 기독교와 민족주의의 결혼이라고 불렀다.

 

바로 이런 특수한 상황이 한국에서 기독교 수용을 보다 용이하게 했고, 일제 지배 하에서도 기독교가 건재할 수 있는 힘이었다. 아이로니컬하게도 우리 역사에서의 일제의 현존은 기독교의 수용과 성장을 촉진하는 배후세력이었다.

 

(고신대 이상규교수 /역사신학)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한국교회사] 초기 선교정책: 선교지 분담 정책

 

 

 

복음 효율화 위해 교파별로 선교지 나눠

 

알렌의 입국 후 여러 선교단체가 한국에서 일하게 되자 특정 지역의 집중화를 막고 효과적인 선교사역을 위한 선교부 간의 조정이 필요했다. 이런 배경에서 선교지역 분담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복수의 선교부가 한 지역에서 일하게 될 때 야기될 수 있는 불필요한 대립이나 경쟁을 막고 인적·재정적 낭비를 최소화하자는 취지에서 나온 것이다. 아펜젤러는 이미 1888년 장로교회와 북감리교회 선교부 간의 선교지 분담을 제안한 바 있고, 미국남장로교회가 한국선교를 시작했을 때(1892) 북장로교와 남장로교 간에도 선교지 분담 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이런 점은 합리적인 선교지역 분할이 긴요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선교지 분담에 가장 적극적인 교파가 장로교였다. 미국 남장로교와 북장로교 선교부의 연합체인 ‘장로교 공의회’는 선교지 분담을 포함하여 한국에서는 하나의 장로교회를 세우도록 힘쓴다는 점에 합의했다.

후에 호주장로교회와 캐나다장로교회가 이 일에 동참하게 된다. 장로교공의회는 장로교치리회가 조직되기 이전까지 상회(上會) 역할을 했다. 이 장로교공의회는 1893년 1월 회원 선교부 간 합의를 거쳐 북장로교는 평안도 황해도 경상북도, 남장로교는 제주도를 포함한 전라도와 충청도, 캐나다장로교는 함경도 지방을 맡기로 했다. 부산과 경남지방은 호주와 미국북장로교 공동구역으로 했다.

 

미국북장로교와 북감리회의 선교지 분담안

 

1893년 6월에는 미국북장로교 선교부와 북감리회 선교부 간의 선교지 분담협의가 이루어졌다. 이 분담안은 인구 5000명 이상의 도시나 개항장(開港場)은 공동선교구역으로 하고, 5000명 이하의 지역의 경우 이미 선교를 개시한 선교부의 선취권을 인정해 주고 타 선교부는 가능한 한 이 지역을 피하고 미점유지역 선교를 권장한다는 내용이 중심이다.

또 교회권징은 상호 인정해 주고, 교회 지도자들이나 신도들의 교단 이동을 인정하되 이명서가 없는 이를 영입해서는 안 된다는 조항을 포함시켰다. 이런 합의에 대해 감리교 감독 포스터(R S Foster)가 찬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리교에서 공식적으로 수용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감리교회도 이 협정을 존중했다.

 

선교지역 분담 논의는 그 후에도 계속되었다. 경남지방에서는 1900년부터 미북장로교와 호주선교부 간의 협의를 시작하여 1903년 10월 20일 양 선교부 간의 지역조정에 합의하였다. 흔히 낙동강을 경계선으로 구분했다고 말하고 있으나 그렇지 않다. 경남지역의 남서쪽, 곧 울산 기장 언양 양산 거제 진해 고성 지역은 호주장로교가, 동북쪽, 곧 김해 웅천 밀양 영산 창녕 칠원 창원 지역은 북장로교 선교부가 맡기로 하였다. 그리고 인구집중지역인 부산 동래 마산은 양 선교부의 공동구역으로 하였다. 이때의 지역분담에 대해 왕길지가 그린 분담도를 필자가 보관하고 있다. 협의는 그 후에도 계속되었고 북장로교는 1913년 말 부산·경남지방에서 완전히 철수하게 된다.

 

장감연합공의회 조직

 

1905년에는 장감연합공의회가 조직되어 그동안 미온적이었던 감리교와도 선교지역 분담에 대해 협의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커다란 발전이었다. 일단 평안북도 지역에서 합의가 이루어졌다. 북장로교는 영변 지역을 북감리교에 이양하는 대신 북감리교는 안주지역을 북장로교 선교부에 이양했다. 각 선교부의 사역이 확대되고 새로운 선교사들이 내한하게 되자 선교지 조정의 필요성이 한층 높아졌다. 이런 필요에 따라 장로교와 감리교 간의 논의가 계속되었고, 1909년 9월 16일과 17일 양일간 모인 ‘지역분담협정위원회’에서는 주한 미국북장로교, 남장로교, 호주장로교, 캐나다장로교 등 4개 장로교 선교부와 미국북감리회와 남감리회 등 2개 감리교 선교부, 곧 6개 선교부가 참여하는 선교지 분담협정을 체결하기에 이르렀다.

 

이 협정은 선교부 간의 상호존중과 양보 차원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교계예양(敎界禮讓)’ 혹은 ‘예양협정(禮讓協定·Comity Arrangement)’이라고 불리고 있다. 몇 차례의 조정이 뒤따랐으나 대략 다음과 같이 분할되었다. 미국 북장로교는 강계 선천 평양 재령 서울 청주 안동 대구 등 평안도 황해도와 충청북도 일부 지역과 경상북도 지방을 맡았고, 미국 남장로교는 전주 군산 목포 광주 순천 등 전라도와 대전 부여 등 충청남도 일부와 제주도를, 캐나다장로교는 함경도 지방을, 그리고 호주장로교 선교부는 부산 진주 마산 거창 통영 등 경남지방을 맡았다.

또 미 북감리교 선교부는 영변 해주 평양 서울 인천 원주 영월 충주 원주 등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충북 강원도 일부지역을, 남감리회는 원산 서울 송도(개성) 춘천 등 함남 경기 강원 일부지역을 각각 담당하였다. 이상에서 본 바처럼 서울 평양 원산 등 세 도시 지역은 두개 이상의 선교부가 공동으로 선교한 곳이고, 나머지 지방은 대체로 중복을 피하도록 했다. 다른 교파들, 곧 침례교 성결교 구세군 그리고 성공회 등은 동참하지 않았고, 이들 교파는 자유롭게 선교하였다.

이 선교지 분할정책은 불필요한 마찰이나 재정적 인적 낭비를 줄이고 한국을 효과적으로 복음화하기 위한 선한 동기에서 시작되었으나 해당 선교회의 신학적 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신학을 이식하였고, 1930년대의 지방색에 의한 교권 대립, 해방 후 교회분열의 원인(遠因)이 되었다는 지적은 타당성이 있다.

(고신대 교수·역사신학)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앵커] 
이슬람 포비아 현상과 문제점, 대처방안을 살펴보는 기획보도 오늘은 마지막으로 한국교회의 이슬람대책활동과 이슬람에 대한 교회의 종합대책 방향을 천수연, 고석표 두 기자가 잇따라 전해드립니다.

[천수연 기자]

한국교회가 이슬람대책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선 건 지난 2007년 아프가니스탄 단기선교팀 피랍사건 이후부텁니다. 

여기에 이슬람계 외국인 유입이 늘고 이슬람 채권인 수쿠크 발행이 시도되면서 교계의 이슬람교에 대한 경각심이 커졌습니다. 

조직이 구성된 건 2008년 무렵. 예장통합과 합동총회가 당시 정기총회를 통해 특별위원회를 신설하고, 이어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등 보수 연합단체를 중심으로 대책이가 꾸려져 활동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부 교단에서는 대책위원회를 상설화하는 등 대책활동을 강화하는 분위깁니다. 

[인터뷰] 노재경 목사 / 예장합동 교육국 
"이슬람대책위원회가 그동안은 이단대책위원회 안에 분과로 있었는데, 그러다 보니 독립적이고 파워풀한 활동을 할수 없게 구조적으로 돼 있었죠."


이슬람대책위의 주된 활동은 이슬람의 실체 알리기. 세미나 등을 통해 이슬람의 폭력적 종교성과 국내 이슬람화 전략 등을 한국교회에 전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김정만 목사 /예장백석 타종교대책위원장 
“취업을 가장해 이슬람화 하려고 한국에 들어와 활동하고 있습니다.결혼과 출산 고지를 점령해서 한국 모든 여성을 이슬람화하려고 대책세우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이같은 대책활동은 이슬람을 경계하는 소극적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 국내 무슬림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현수 대표 / 한국프론티어스 국제선교회 
"또 한국사회에서 무슬림들이 자신들의 정체감을 어떻게 만들어가고 있는가에 대한 사회학적이고 때론 정치학적이고 종교적이고 문화적인 구체적 데이터들이 필요하다는 사실이예요."

또 국내 무슬림을 놓고 국내선교부와 이슬람대책위가 선교정책과 대응방향에서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지 않도록 협력적으로 움직일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CBS뉴스 천수연입니다. 

[영상 채성수 편집 서원익] 

[고석표 기자]

2015년 현재 국내에 거주하는 이슬람 인구는 약25만 명. 

전문가들은 그러나 10년 안에 한국의 이슬람 인구는 100만 명에 육박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습니다. 

외국의 무슬림 인구도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인구 약 72억 명 가운데 무슬림이 약 22%로 약 16억 명.

외신에 따르면, 영국의 경우 2001년 무슬림 인구는 150만명, 10년이 지난 2011년엔 280만명으로 늘어났습니다. 

특히 유럽과 미국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사람들의 80%이상이 기독교인들이라고 알려져 있어 경각심을 주고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김군이 IS에 합류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제2의 김군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청소년들을 상대로 한 무슬림 바로 알기 교육도 더욱 절실해지고 있습니다. 

다만 무슬림의 확장은 경계하되 이로 인한 공포증 즉 이슬람포비아는 구분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이슬람포비아는 왜곡된 정보를 바탕으로 확대 재생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혜롭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입니다. 

이에 따라 신학적, 종교적 편견을 넘어서서 무슬림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이들에게도 예수 그리스도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제안합니다. CBS 뉴스 고석표입니다. 

천수연 기자 ⓒ CBS 크리스천노컷뉴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