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 기독교의 수용과 성장

 

 

청일전쟁 이후 한국교회 들불처럼 성장

 

외래 종교에 대해 배타적이었던 전통과는 달리 한국에서의 기독교의 수용(受容)은 아아(亞阿)제국의 다른 나라들과는 비견될 수 없는 특별한 경우였다. 기포드(Gifford)189691일자로 미국 북장로교 선교본부에 보낸 서신에서 한국교회의 성장을 들판을 태워가는 들불(wildfire)’에 비유했다. 로이 쉬리어(Shearer) 또한 지역적 편차가 있었음을 고려한다 할지라도 한국교회의 성장은 요원지화라는 점을 인정했다. 이것은 서양 선교사들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고, 1910년 에든버러에서 열린 세계선교대회(IMC)에서도 한국교회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비교할 수 없는 한국교회의 성장

 

개신교 선교사가 입국해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한 첫 10년간(18841894)고투의 시기였다. 이 시기의 신자 증가율은 미미했다. 기독교에 대한 오해, 유가적(儒家的) 전통문화와의 갈등, 정치적 정황이 복음전도의 장애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노도사라고 불린 노춘경(盧春京)의 세례(1886711) 이후 수세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886년 말, 수세자는 전국적으로 9명에 불과했으나 다음 해에는 25명으로 불어났다. 1888년에는 65, 1889년에는 100명에 달했다. 1890년 당시 11명의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사들이 활동하고 있었는데, 이 해의 수세자는 장로교 119, 감리교 36명 등 155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1895년부터 수적 성장이 현저해졌다. 1894년까지만 해도 신자는 불과 500명 전후로 추정되지만 1895년에는 746명으로 성장했다. 1895년에서 1896년 사이에는 2500여명으로, 18967년에는 3300여명으로 증가했다. 1900년에는 약 12000명으로, 1905년에는 26057, 1920년에는 92510, 1930년에는 125479명으로 성장했다. 민경배 교수는 1930년대 한국교회 신자가 38만명에 이르렀다고 분석한다. 물론 통계자료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 않지만 분명한 사실은 한국교회의 성장은 아아제국의 다른 나라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특별한 경우라는 점이다.

 

그런데 주목할 사실은 선교사의 입국 이후 첫 10년간의 성장은 미미했으나 1895년 이후 급속한 성장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여세가 그 이후 계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백낙준은 특히 1897년부터 1906년까지 성장이 뚜렷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 이유를 밝히지는 않았다. 우리에게 있어 커다란 숙제는 왜 이때 갑작스런 성장이 나타났는가 하는 점이다.

 

청일전쟁, 그리고 기독교 수용

 

1895년 이후라는 말은 청일전쟁(18941895) 이후라는 의미인데, 이 전쟁이 기독교에 대한 인식 변화에 유효한 의미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1894725일에는 일본군이 남양만 풍도 앞바다에서 청국 군함에 포격을 가함으로써 시작된 청일전쟁의 전장(戰場)은 우리나라였고, 우리의 주권을 침탈하려는 싸움이었다. 이때 조야(朝野)는 일본의 승리를 예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전쟁이 시작된 지 불과 두 달이 못돼 일본이 승기를 잡았다. 816일 평양전투에서, 다음 날은 압록강 입구에서 청의 육군과 해군을 격파했다.

 

청의 패배와 일본의 승리는 우리에게 커다란 충격이었다. 곧 그 원인은 일본이 서양문물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런 인식은 당시로서는 중대한 발견이었다. 조선의 조야는 이제 세계질서, 그리고 극동의 새로운 정세에 눈을 뜨게 되었다. 점증하는 열강들의 야욕을 희미하게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우리도 서양문물을 받아들이지 않고는 민족적 자강(自强)을 이룰 수 없다는 인식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면 서구와 손잡는 방법은 무엇인가? 당시로서는 기독교라는 통로뿐이었다. 결과적으로 청일전쟁 이후 서양기술에 대한 인식과 기독교에 대한 관심은 자연스런 것이었다. 소수의 엘리트 그룹의 기독교 영입론은 그 시대의 요청이었다.

 

기독교를 통한 민족의식 고취

 

코리안 리포지토리(Korean Repository)에서는 이렇게 기록했다. “이 가련한 조선인들은 고난과 불안의 와중에서 두 손을 뻗쳐 하나님을 찾고 있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아직 미미한 서양종교로만 이해되던 기독교에 대해 새로운 관심이 일었고 청일전쟁이 끝난 1895년부터 신자 수는 급증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기독교는 서구문화의 도관(導管)으로 이해되었던 것이다. 말하자면 청일전쟁 이후 기독교에 대한 관심과 신자의 급증은 기독교를 통한 민족 자강의식의 발현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을 호주의 역사가 케네드 웰즈(K M Wells)자강 민족주의(self-reconstruction nationalism)’이라고 불렀다.

 

적어도 1895년 이후 1910년대의 한국교회의 급속한 성장은 기독교를 통해 민족적 자강을 이루는 의지와 무관하지 않다. 을미사변(乙未事變) 또한 이런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1895108, 국모로 일컫던 명성왕후가 일본 낭인들에 의해 살해된 것은 단순히 한 여인의 죽음이 아니라 국가 변란을 시도한 사변이었다. 일본의 조선침탈 야욕을 선명하게 노출한 이 사건은 심각한 국가적 위기였다. 이 위기에서 탈출하려는 의식은 서양문물에 대한 관심을 노출하였고, 고종은 선교사들에게 도움을 청했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기독교 집단 스스로 충군애국의 종교로 민족의 과제를 거부하지 않았다. 이렇게 볼 때 교회성장은 그 시대의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고신대  이상규교수·/역사신학)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한국교회사] 의료활동과 병원의 설립

 

복음 실은 현대의술로 조선인 마음을 잡다

 

학교의 설립과 함께 의료활동은 기독교의 값진 봉사였다. 아아(亞阿)제국의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시약소의 설치, 환경위생 교육, 병원의 설립 등 의료활동은 선교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책으로 인식되었다. 그래서 1830년대를 전후하여 의료선교사들이 파송되기 시작했다. 마테오 리치(Matteo Ricci·1552∼1610)에게서 예시되듯이 예수회 선교사들이 천문학을 통해 중국인의 마음을 움직이려 했다면, 개신교 선교사들은 현대의학을 통해 사람의 마음을 사고자 했다.


한국 선교는 병원과 함께 

한국에서의 의료활동은 한국 선교와 더불어 시작되었다. 장로교와 감리교 그리고 다른 교파에서도 의료선교는 중요한 위치를 점했다. 최초의 의료선교사였던 알렌은 미국 공사관 대리공사 폴크를 통해 한국 정부에 서양식 병원 건립을 제의했고, 고종의 윤허로 서울에 설립된 광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병원이었다. 북감리회의 스크랜턴, 북장로교의 헤론 의사가 이 병원에서 일했고, 1886년에는 부녀과를 신설하여 엘러스(Annie J Ellers)가 진료를 맡았다. 후에는 홀턴(Lillias Horton)이 이 일을 계승했다. 알렌의 뒤를 이어 헤론(J Heron), 빈톤(C Vinton), 하디(R A Hardie), 에비슨(O R

Avison) 등이 원장으로 봉사하였다. 

 

북감리교의 의료선교사인 스크랜턴(William Scranton)은 서울 정동에서 1885년 9월 민간병원을 설립했는데, 고종은 이 병원에 ‘시(施)병원’이란 이름을 하사했다(1886. 6). 1888년 12월에는 아현동과 상동에 분원이라 할 수 있는 진료소를 설치하기도 했다. 미 감리회는 남녀를 한 병원에서 진료하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하여 정동 이화학당 구내에서 여성과 어린이만을 위한 진료소를 개설하는데, 이것이 최초의 여성만을 위한 병원이었다. 명성황후는 ‘보구녀관(保救女館)’이라는 병원 이름을 하사하였다. 하워드(Meta Howard), 셔우드(Rosetta Sherwood), 커틀러(Mary Cutler), 해리스(Lillian Harris), 에른스버거(Emma Ernsberger) 등이 이 병원에서 봉사했는데, 현재의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으로 발전하고 있다. 

 

각 지역의 선교병원  

 

의료활동은 서울에서만 아니라 각 선교부에 의해 지방으로 확산되었다. 평양에는 래드병원(Ladd Hospital)을 설립했는데 평양기독병원으로 개칭되었고, 후일 감리교의 기홀병원과 합병하여 1923년에는 평양연합기독병원이 되었다. 부산에서는 1891년 12월 브라운(Hugh M. Brown)에 의해 시작된 시약소가 어빈(Charles Irvin) 의사 등의 봉사로 정킨기념병원(Junkin Memorial Hospital)으로 발전하였다. 대구에서는 1899년 존슨(W O Johnson) 의사에 의해 시작된 진료소가 동산병원으로 발전하였다. 

또 선천(미동병원), 강계(계례지병원), 원산(원산구세병원), 해주(구세병원), 개성(남성), 원주(서미감병원), 전주(예수병원), 진주(배돈병원), 심지어는 간도(용정, 제창병원) 등지에도 선교병원이 설립되었다. 특히 대구, 부산, 광주에 나병환자들을 위한 보호시설(병원)을 설립하고 가련한 이들을 보살폈다. 그래서 1913년까지 전국에는 3개의 진료소를 포함하여 33개의 선교병원이 설립되어 있었다(표 참고). 

 

1884년 알렌 의사의 입국 이후 많은 의료선교사들이 내한했다. 1907년에는 한국의료선교사협의회(The Korea Medical Missionary Society)가 조직되어 의료선교사들 간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졌다. 1938년 당시 의료선교사 수는 328명에 달했다. 교파별로 보면 북장로교 84명, 남장로교 44명, 북감리회 59명, 남감리회 32명, 성공회 31명, 캐나다연합교회 22명, 안식교 10명, 독립선교사 35명 등이었다. 한국에 왔던 의료선교사 중 헤론, 홀, 랜디스(Eli Barr Landis), 오웬(C C Owen) 등은 격무와 과로로 순직하기도 했다. 

 

의료선교가 끼친 영향 

 

의료선교는 궁극적으로 복음 증거를 위한 방편이었으나 한국의 의학 발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한국에서 의료선교 사역이 남긴 가장 큰 공헌은 첫째로 시료(施療)와 시약(施藥)을 통해 한국인들의 육체적·정신적 혹은 심리적 아픔을 치료하고 재활, 재생의 길을 가도록 도움을 준 일일 것이다. 한국에서의 의료실태가 경험적 의술의 일종인 한의학 외에는 비과학적 샤머니즘과 관련된 무속신앙과 민간요법에 의존하는 전근대적 의료수준에 머물고 있었음을 고려해볼 때 더욱 그렇다. 둘째, 서양의술의 전파를 통해 한국의학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셋째, 의학교육과 의료인의 양성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에비슨 박사는 초기 의료선교가 남긴 공헌을 5가지로 설명했다. 첫째로 호열자나 각종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의료선교사들의 시약, 시료, 종두 등 예방과 치료활동을 통해 병이 미신과 악신(惡神)의 결과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을 미신적 공포에서 해방한 점, 둘째로 종두(種痘)의 보급에 의한 어린이 사망률의 급격한 감소, 셋째로 이웃을 돕는 사랑의 정신을 구현함으로써 구제사업을 실천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한 점, 넷째로 예방, 시약, 치료, 공중위생 및 보건증진 등 각종 의료활동을 통해 기독교 신앙이 전파되고 수용된 점, 다섯째로 의학교재의 번역 및 의료관계 저술을 통해 한국의 과학교육 혹은 의학교육에 영향을 준 점을 지적하였다.

(고신대 이상규교수·역사신학)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한국교회사 / 조선에 온 두번째 개신교 선교사

 

비극으로 끝난 토머스 선교사 숭고한 도전

귀츨라프에 이어 한국을 방문한 두 번째 개신교 선교사는 회중교회의 토머스 목사(Rev. Robert Jermain Thomas, 1840∼1866)였다. 웨일스의 회중교회 목사 아들로 출생한 토머스는 아홉 살 때 아버지의 목회지를 따라 하노버로 이사했다. 1859년에는 런던대학교 뉴칼리지에 입학하게 되는데, 언어능력이 탁월했다.

이미 라틴어, 그리스어 등 고전어와 프랑스어 등 유럽 언어를 이해하고 있었다. 1863년 이 학교를 졸업한 그는 그해 5월 29일 캐롤라인 갓프리와 결혼하였고, 그해 6월 4일 하노버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7월 21일에는 런던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파송으로 중국으로 향하게 된다. 그의 나이 23세였다.

그가 중국선교를 지원한 것은 중국이 런던선교회의 중요한 선교지역이기도 했지만 인도와 중국은 당시 젊은이들의 관심의 대상이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마도 런던선교회의 첫 중국 파송 선교자인 로버트 모리슨(Robert Morrison, 1782∼1843)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민경배 교수는 토머스가 귀츨라프의 조선 방문기를 읽고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토머스의 제1차 조선 방문

토머스는 4개월에 걸친 여행 끝에 1863년 12월 부인과 함께 상하이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사역은 길지 못했다. 중국에 온 지 4개월 만에 아내가 사망하였고, 런던선교회 상하이 지부장인 무어헤드와의 관계도 불편했다. 1864년 12월 런던선교회를 사임한 그는 조선에서 천주교도들이 심한 핍박을 받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때 스코틀랜드성서공회의 파송을 받고 만주에서 일하고 있던 알렉산더 윌리엄슨과 접촉하게 되었고, 그의 주선으로 1865년 조선 입국을 시도하였다. 즉 토머스는 9월 4일 산둥성 지푸를 떠나 ‘허락되지 않는 땅(terra incognito)’으로 향했고, 그달 13일 한국의 서해안에 도착하였다. 어떤 기록에는 이곳이 황해도 옹진 자라리(紫羅里) 근포(近浦)였다고 말한다. 한글을 공부하며 한문 쪽복음서를 나누어 주며 은밀하게 전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 2개월 반 동안 조선에 체재한 후 1866년 1월 초 베이징으로 돌아갔는데, 이것이 제1차 조선 방문이었다.

토머스의 제2차 조선 방문

베이징으로 돌아간 그는 조선의 사신들을 만나 교제하기도 했다. 이들을 통해 한글을 배웠고 조선의 천주교 상황에 대한 정보를 듣게 되었다. 비록 상당한 위험이 상존했으나 그는 조선에서의 선교활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던 중 조선으로 가는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General Sherman)호에 승선하고 조선으로 향하게 되었다. 이 범선은 톈진(天津)에서 화물을 내려놓은 후 

‘조선이 필요로 할’ 면직의류, 유리 및 양은 그릇, 천리경(千里鏡), 바늘 등을 싣고 통상 개시의 가능성 유무를 시탐하기 위하여 파견된 무장 상선이었다. 이 배는 1866년 7월 29일 톈진을 떠나 8월 9일 지푸를 거쳐 조선으로 향하였는데, 이때 토머스는 통역관 및 항해 안내자의 자격으로 승선했다. 동시에 스코틀랜드성서공회(NBSS)의 파견원 자격이기도 했다. 승선원은 미국인 3명, 토머스를 포함한 영국인 2명, 그리고 중국인과 말레이시아인으로 구성된 19명 등 총 24명이었다. 이 배는 백령도를 거쳐 평양으로 항해해 8월 20일 대동강 하류에 있는 강서군 초리면(草里面) 포리(浦里)에 닻을 내렸다. 여기서 하루를 지낸 후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백령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문성경과 전도 문서를 나눠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이 토머스의 제2차 조선 방문이었다.

토머스의 ‘무모한 도전’

제너럴셔먼호는 교역을 요구했다. 조선 관리는 국법에 의해 금지된 점을 말했으나 배는 8월 22일 평양 만경대 근처의 두로도를 지나 27일에는 한사정(閑似亭)으로 향했다. 셔먼호는 조선 영토에 불법으로 침입한 경위를 조사하기 위해 온 조선인 관리 이현익(李玄益)을 인질로 잡고 발포하는 등 행패를 부리며 평양성 수비병과 대치하였다. 대동강 하류로 이동하던 중 양각도(羊角島) 서쪽 쑥섬에서 이 배는 좌초되어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수비병의 화공(火攻)으로 배는 불탔고 선원들은 살해되었다. 이때가 9월 4일이었다. 토머스 목사도 이때 사망했다. 그의 나이 26세였다. 토머스는 두 차례의 조선 방문을 통해 약 4개월간 조선 영토에 체재했으나 구체적인 성과는 없었다. 물론 토머스의 전도와 그 결실에 관한 몇 가지 확인할 수 없는 주장들이 있으나 신뢰하기 어렵다. 토머스가 조선으로 왔던 때는 천주교 금교령이 내려지고 12명의 프랑스 신부 중 9명이 체포되어 처형당하는 등 천주교 박해가 심각했던 때였다. 이런 박해 상황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장한 상선을 타고 입국한 것은 무모한 도전이었다.

어떤 이는 토머스 목사가 무장한 상선을 타고 입국하였고 한국에서 구체적인 선교사역이 없었다는 점에서 순교자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비록 무모한 도전이기는 했으나 그 자신은 선교사이기를 원했다. 윌리엄슨으로부터 지원받은 ‘많은 양의 책’을 전파하고자 했던 것은 분명했다. 비록 뚜렷한 결실은 없었으나 그는 은둔의 나라에 대한 열정을 가진 선교사였다. 그래서 그는 ‘한국에서의 첫 개신교 순교자’로 불린다. 제너럴셔먼호는 미국 국적의 배였기에 미 해군은 이 배의 행방을 추적하였고, 뒷날 신미양요(辛未洋擾)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