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 기독교의 수용과 성장
청일전쟁 이후 한국교회 들불처럼 성장
외래 종교에 대해 배타적이었던 전통과는 달리 한국에서의 기독교의 수용(受容)은 아아(亞阿)제국의 다른 나라들과는 비견될 수 없는 특별한 경우였다. 기포드(Gifford)는 1896년 9월 1일자로 미국 북장로교 선교본부에 보낸 서신에서 한국교회의 성장을 ‘들판을 태워가는 들불(wildfire)’에 비유했다. 로이 쉬리어(Shearer) 또한 지역적 편차가 있었음을 고려한다 할지라도 한국교회의 성장은 요원지화라는 점을 인정했다. 이것은 서양 선교사들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고, 1910년 에든버러에서 열린 세계선교대회(IMC)에서도 한국교회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비교할 수 없는 한국교회의 성장
개신교 선교사가 입국해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한 첫 10년간(1884∼1894)은 ‘고투의 시기’였다. 이 시기의 신자 증가율은 미미했다. 기독교에 대한 오해, 유가적(儒家的) 전통문화와의 갈등, 정치적 정황이 복음전도의 장애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노도사라고 불린 노춘경(盧春京)의 세례(1886년 7월 11일) 이후 수세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886년 말, 수세자는 전국적으로 9명에 불과했으나 다음 해에는 25명으로 불어났다. 1888년에는 65명, 1889년에는 100명에 달했다. 1890년 당시 11명의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사들이 활동하고 있었는데, 이 해의 수세자는 장로교 119명, 감리교 36명 등 155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1895년부터 수적 성장이 현저해졌다. 1894년까지만 해도 신자는 불과 500명 전후로 추정되지만 1895년에는 746명으로 성장했다. 1895년에서 1896년 사이에는 2500여명으로, 1896∼7년에는 3300여명으로 증가했다. 또 1900년에는 약 1만2000명으로, 1905년에는 2만6057명, 1920년에는 9만2510명, 1930년에는 12만5479명으로 성장했다. 민경배 교수는 1930년대 한국교회 신자가 38만명에 이르렀다고 분석한다. 물론 통계자료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 않지만 분명한 사실은 한국교회의 성장은 아아제국의 다른 나라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특별한 경우라는 점이다.
그런데 주목할 사실은 선교사의 입국 이후 첫 10년간의 성장은 미미했으나 1895년 이후 급속한 성장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여세가 그 이후 계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백낙준은 특히 1897년부터 1906년까지 성장이 뚜렷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 이유를 밝히지는 않았다. 우리에게 있어 커다란 숙제는 왜 이때 갑작스런 성장이 나타났는가 하는 점이다.
청일전쟁, 그리고 기독교 수용
1895년 이후라는 말은 청일전쟁(1894∼1895) 이후라는 의미인데, 이 전쟁이 기독교에 대한 인식 변화에 유효한 의미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1894년 7월 25일에는 일본군이 남양만 풍도 앞바다에서 청국 군함에 포격을 가함으로써 시작된 청일전쟁의 전장(戰場)은 우리나라였고, 우리의 주권을 침탈하려는 싸움이었다. 이때 조야(朝野)는 일본의 승리를 예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전쟁이 시작된 지 불과 두 달이 못돼 일본이 승기를 잡았다. 8월 16일 평양전투에서, 다음 날은 압록강 입구에서 청의 육군과 해군을 격파했다.
청의 패배와 일본의 승리는 우리에게 커다란 충격이었다. 곧 그 원인은 일본이 서양문물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런 인식은 당시로서는 중대한 발견이었다. 조선의 조야는 이제 세계질서, 그리고 극동의 새로운 정세에 눈을 뜨게 되었다. 점증하는 열강들의 야욕을 희미하게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우리도 서양문물을 받아들이지 않고는 민족적 자강(自强)을 이룰 수 없다는 인식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면 서구와 손잡는 방법은 무엇인가? 당시로서는 기독교라는 통로뿐이었다. 결과적으로 청일전쟁 이후 서양기술에 대한 인식과 기독교에 대한 관심은 자연스런 것이었다. 소수의 엘리트 그룹의 기독교 영입론은 그 시대의 요청이었다.
기독교를 통한 민족의식 고취
코리안 리포지토리(Korean Repository)에서는 이렇게 기록했다. “이 가련한 조선인들은 고난과 불안의 와중에서 두 손을 뻗쳐 하나님을 찾고 있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아직 미미한 서양종교로만 이해되던 기독교에 대해 새로운 관심이 일었고 청일전쟁이 끝난 1895년부터 신자 수는 급증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기독교는 서구문화의 도관(導管)으로 이해되었던 것이다. 말하자면 청일전쟁 이후 기독교에 대한 관심과 신자의 급증은 기독교를 통한 민족 자강의식의 발현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을 호주의 역사가 케네드 웰즈(K M Wells)는 ‘자강 민족주의(self-reconstruction nationalism)’이라고 불렀다.
적어도 1895년 이후 1910년대의 한국교회의 급속한 성장은 기독교를 통해 민족적 자강을 이루는 의지와 무관하지 않다. 을미사변(乙未事變) 또한 이런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1895년 10월 8일, 국모로 일컫던 명성왕후가 일본 낭인들에 의해 살해된 것은 단순히 한 여인의 죽음이 아니라 국가 변란을 시도한 사변이었다. 일본의 조선침탈 야욕을 선명하게 노출한 이 사건은 심각한 국가적 위기였다. 이 위기에서 탈출하려는 의식은 서양문물에 대한 관심을 노출하였고, 고종은 선교사들에게 도움을 청했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기독교 집단 스스로 충군애국의 종교로 민족의 과제를 거부하지 않았다. 이렇게 볼 때 교회성장은 그 시대의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고신대 이상규교수·/역사신학)
'신학과교회사 > 한국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회사] 초기 한국교회의 찬송가 (0) | 2017.09.21 |
---|---|
[한국교회사] 한국에서 기독교 부흥 배경 (0) | 2017.09.21 |
[한국교회사] 의료활동과 병원의 설립 (0) | 2017.09.20 |
[한국교회사] 선교학교와 기독교교육 미션스쿨 (0) | 2017.09.20 |
[한국교회사] 초기 선교정책: 선교지 분담 정책 (0) | 2017.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