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 초기 한국교회의 찬송가

 

 

 

 

·英語로 부르다가한글 찬송가 1892햇빛

 

기독교가 처음 한국에 소개되고 예배가 드려졌을 때 어떤 찬송을 불렀을까? 이번에는 이런 질문에 답하면서 한국교회 초기 찬송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기독교가 소개되던 초기에는 우리말 찬송이 없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한문으로 된 중국어 찬송가를 이용했다. 1887년 백홍준, 서상륜을 중심으로 시작된 새문안교회도 처음에는 중국어 찬송을 불렀다. 백홍준의 딸 백성관은 이렇게 회상했다. “내가 어렸을 때 나의 아버지는 만주로부터 돌아오셔서 매일 새벽이면 기도하시고는 나지막한 소리로 쥬 예쑤 아이워(主耶蘇愛我)’를 부르시던 기억이 난다.” 아펜젤러는 자신이 편집한 찬송가 서문에서 조선말로 찬미를 쓰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나니 조선교회에서 처음에는 지나(支那)찬미가에서 얼마를 써 보았으나 가사의 뜻을 잘 알 수 없었으며라고 하여 한글 찬송이 보급되기 전에는 중국어 찬송이 사용되었음을 말하고 있다. 이화학당이나 배재학당의 채플에서는 영어 찬송을 불렀다고 한다. 한국어 찬송이 없던 당시로서는 불가피한 일이었을 것이다. 이런 현실에서 한글 찬송가 편찬은 시급한 과제였다.

 

국내 최초의 찬송가

 

처음에는 지역이나 선교부에 따라 각기 다른 찬송을 지어 불렀는데,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찬송가가 편찬된 때는 선교사가 입국한 지 8년이 지난 1892년이었다. 그것이 감리교의 존스(G A Jones)와 로드와일러(L C Rothweiler)가 편집한 찬미가였다. 27편이 수록된 악보 없는 수형본(手形本) 찬송가였다. 2년 후인 1894년에는 장로교의 언더우드에 의해 117곡으로 편집된 찬양가가 출판되었는데, 이 찬송가 상단부에는 사성부(四聲部) 악보가 그려져 있고 하단부에는 가사를 기록한 형태였다. 이것이 한국에서 서양식 악보가 인쇄된 최초의 음악책이었다. 이 찬양가는 주로 서울지방에서 사용되었다. 선교 초기에는 지역적으로 다른 노래가 불리기도 했고, 편집된 찬송가가 널리 보급되지도 못했다. 말하자면 첫 10여년 동안 통일된 찬송가가 없이 예배를 드렸음을 알 수 있다. 1895년에는 장로교 선교사 그래함 리(Graham Lee)와 기포드(Gifford) 부인이 편집한 찬셩시가 출판되었는데 54편의 곡을 수록하고 있었다. 이 책은 서북지역에서 주로 사용되었는데, 계속 증보되어 1902년에는 장로교공의회에 의해 공식 찬송가로 채택되었고, 이후 개정 증보되어 1905년에는 이를 기초로 마펫이 곡보찬셩시를 간행했다. 137곡을 수록한 이 찬송가가 장·(장로교·감리교)의 합동 찬송가가 출판되기까지 장로교의 공식찬송가로 자리 잡았다.

 

감리교의 존스와 로드와일러의 찬미가도 계속 증보되어 1902년에는 207곡으로 늘어나 감리교회의 찬송가로 자리 잡았다. 흥미로운 점은 선교사와 무관하게 15편의 노래를 수록한 찬미가1905년 간행되었다는 점이다. 윤치호가 역술한 무악보의 이 찬미가의 제1장이 황제폐하송이었고, 14장은 애국가였다. 이 노래는 지금의 애국가와 거의 동일한데, 곡은 스코틀랜드의 민요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에 맞추어 부르도록 표시되어 있었다. 후에는 찬송가에서 삭제되고 곡도 안익태 곡으로 바뀌었다. 이 찬미가가 교회의 공적인 찬송가로 채택되지는 않았으나 1908년 재판까지 발행되었다. 국운이 기울던 당시의 충군애국적인 신앙을 보여주고 있다.

 

·감 연합 찬숑가

 

한국에서의 찬송가 편찬에 기여한 인물은 침례교선교사 펜윅(M C Fenwick)이었다. 그는 14장의 찬송을 편집한 복음찬미1899년 독자적으로 발행한 바 있다. 이 찬송도 계속 증보되어 1939년 판에는 274곡을 수록하였다. 이 찬송이 동아기독교(침례교)의 공식 찬송가가 되었다.

 

한국에서의 주도적 두 교회인 장로교회와 감리교회는 연합과 일치를 위해 통일된 찬송가를 불러야 한다는 인식이 열매를 맺어 1908년에는 장·감 연합의 찬숑가가 발행되었다. 262곡을 수록한 이 찬송가는 이전에 번역을 다듬고 세련된 가사로 개작했다. 6곡은 한국 고유의 곡조로 부르도록 배려했다. 편집위원은 베어드부인(Annie Baird), 밀러 (F S Miller), 벙커(D A Bunker)였다. 1908년 초판은 6만부, 1910년까지 225000, 1911년 한 해 동안 5만부가 발행되었다. 이 찬송이 오늘까지 불리는 찬송가의 모태가 되었다.

 

찬송가는 한국음악에도 영향을 끼쳤고 교회는 서양 음악인을 키워낸 온상이었다. 최초의 피아니스트 김영환, 최초의 서양음악교사 김인식, 현제명, 박태준, 안익태 등도 교회가 배출한 음악가들이다.

 

(고신대 이상규교수 /역사신학)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장로 정치  장로교회사


장로 정치주의자들은

계급적인 구조가 교회를 구성할 수도 없으며

교회의 본질이 될 수도 없다고 믿는다.

 

교회 구조는

그리스도의 공동체를 섬기기 위하여

존재하기 때문이다.

  

장로교도들은

모든 교회의 구성원의 만인 제사장직에 근거하여

모든 성도가 하나님 앞에 평등하다고 믿는다.

 

그리고 장로와 장로 사이,

 교회와 교회 사이의 평등을 강조한다.

   

장로교회는 이와 같이 회중교회의 정치의 자율과

평등 사상을 수용하지만,

모든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기 때문에

교회는 연합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이 점이 장로교회와 회중교회와의 차이점이다.

 

또한 회중교도처럼 교회와 정부 영역을 구분하지만,

두 기관이 서로 적대적인 관계에 있다고 보지 않는다.

 

두 기관은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하여

서로 돕는 기관이며,

그 권위는 서로 동등하다고 본다.

  

장로교도는 교회의 연합을 강조하지만,

영국의 성공회 교인이나

로마 천주교도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성공회나 로마 천주교회는 교회의 전통에 초점을 맞추고

니케아 회의 이전의 교회가 어떤 정치를 취하였는가에

관심을 두지만,

 

장로교도들은

성경이 어떤 교회 정치 형태를 취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둔다.

  

교회가 성경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성경이 교회를 다스려야 하기 때문이다. 

 

- 오덕교 <장로교회사> 中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

[교회사]장로교회사 프로테스탄트교회사

 

은혜의 왕국인 지상 교회는 불완전하여

사람들의 의견과 입장에 따라 다양한 교회로 나누어져 왔다.

 

크게 서유럽과 아메리카 대륙 중심의 서방 교회와

러시아와 동부 유럽 중심의 동방교회로 나눌 수 있고,

서방 교회 가운데는 로마의 교황청을 중심으로 하는 로마 천주교회와

루터의 개혁 사상을 따라 시작된 기독교회로 분류할 수 있다.

 

 

16세기 이후 일어난 기독교회는 장로교회, 성결교회, 감리교회,

루터파, 침례교회, 성공회 등의 수많은 교파가 있다.

  

교회는 다 같이 한 하나님과 성경을 그들의 신앙의 기준으로 받아들인다.

 

 이렇게 다양한 교파가 생겨난 이유는

각 교회가 주장하는 교리적인 차이에 근거하는 것이다.

  

같은 성경을 믿으면서도 교리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것은

교회들이 가지는 신학적인 전제가 다르기 때문이다.

  

신학적인 전제의 차이는 다양한 신학 운동과

교회 정치 형태를 주장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로마 천주교회와 루터파 교회는

성경을 신앙과 생활의 권위로 인정하면서도

인간의 전통과 이성을 성경과 동일한 권위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침례교회나 장로교회는

인간의 이성이 불완전하므로 신앙의 판단 기준이 될 수 없음을 주장하면서

오직 성경만을 최종적인 신앙적인 권위로 받아들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침례교회와 장로교회가 나누이게 되는 것은

성경을 보는 입장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장로교회는 신약과 구약 계시의 통일성을 주장하면서

구약이 신약 안에서 완성되었다고 보는 반면,

침례교도들은 구약이 신약 안에서 폐지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신약의 권위를 더 강조한다.

 

따라서 장로교도들은 구약의 할례와 신약의 세례를 같은 은혜 언약으로 보지만,

침례교회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신학적인 전제의 차이로 인하여 다양한 교회들이 존재하며,

그에 따라 다양한 교회 정치 형태가 주장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상의 교회들이 취하고 있는 정치 형태를

교황 정치, 성공회나 감리교회에서 볼 수 있는 감독 정치,

형제단이나 침례 교회가 채택하는 회중 정치와

개혁교회들이 받아들이는 장로 정치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chw

 

- 오덕교 <장로교회사> 中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ission School

은혜로운 설교,기도,찬양이 있는 곳 (선교사를 교육하고 후원하는 선교사 언어 교육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