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교회와 부목사
한국 개신교회에서 직분을 바라보는 관점이 계서적(Hierarchy)인 관점으로 굳어진 것은 정말로 안타까운 일이다. 목사, 장로, 집사는 평등한 관계가 아닌 수직적인 관계로 바뀌었다. 더구나 목사, 장로, 집사의 수는 피라미드 구조를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구조는 자연히 성도들에게 목사는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장로이고, 그 다음은 집사라는 생각을 은연중에 심어준다. 하지만 개혁교회는 일반적으로 장로의 수와 집사의 수를 비슷하게 함으로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여 왔었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같은 직분 안에서도 서열화가 진행되어 왔다는 것이다. 목사 안에는 원로목사, 공로 목사, 담임목사, 수석 부목사, 부목사, 교육목사로 분화 되고, 장로 안에서도 선임장로를 정점으로한 서열이 매겨지며, 집사에도 안수집사와 서리집사로 구분되었다. 즉, 단순하게 목사, 교사(신학교수), 장로, 집사라는 단순한 개혁주의적 직분이 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이것을 그냥, 현대 교회에서 나오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 안에는 로마 카톨릭교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안게 될 수 있다는 데 큰 문제가 있다.
종교개혁 당시, 로카 카톨릭 교회 안에는 수많은 직분들이 있었다. 교황을 정점으로 하여, 추기경, 대주교, 주교, 사제, 부사제, 등등. 개혁가들은 이러한 것이 성경에 전혀 맞지 않다고 공격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누리게 된 단순한 직분제를 확립하게 되었다. 특히 직분과 관련하여 그들은 적어도 2가지 가장 근본적인 주장을 참된 교회에 확립하였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직분의 평등"이다. 즉, 목사와 장로 집사는 하는 일만 다를 뿐이지 다 동등하다는 것이다. 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시킨다면, 집사는 장로가 되기 위한 준비 과정이 아니라는 말이다. 물론 집사가 장로가 될 수도, 나중에 목사가 될 수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 집사는 집사의 일을 잘하는 사람을, 장로는 장로의 일을 잘하는 사람을, 목사는 목사의 일을 잘하는 사람을 교회에 세워야 한다는 말이다.
이것은 또한 목사직 자체에도 적용이 된다. 목사직 역시 평등이라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목사직 안에 대주교, 주교, 사제, 부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목사들은 다 동등하다는 것이 개혁주의 신학의 핵심이다. 이것을 오늘날 한국교회에 엄격하게 적용시킨다면, 목사 안에 담임목사, 부목사, 협동 목사가 계서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는 목사직을 복잡하게 함으로 종교개혁 이전시대로 돌아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목사에 대한 개혁교회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목사는 반드시 교인들의 선출에 의해서 임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개인적 소명은 교회의 소명에 의해 확인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로마 카톨릭에서는 주교가 성직 임명에 있어서 모든 권한을 행사하고, 주교의 임직은 교황이 절대적인 권한을 행사하였다. 목사의 임직을 교인들에게 돌려 준 것은, 직분론에 있어서 개혁신학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부목사를 보도록 하자. 부목사를 교회에서 청빙함에 있어서 대부분의 교회에 있어서 담임목사가 거의 일방적으로 결정한다. 물론 당회의 허락과 제직회를 통과해야 하지만, 거의 형식적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목사는 그냥 담임 목사가 알아서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을 한다.
더구나 담임 목사는 부목사를 해임시키는 거의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다. 물론 이런 장치들이 만들어지게 된 상황을 이해는 할 수 있다. 부목사가 자기 편을 만들어 언제든지 교회를 분열하게 만들 위험이 있으니 그 위험의 싹을 처음부터 자르는 것이 지혜롭다고 판단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는 부목사로 하여금 교인들을 위한 목사가 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담임 목사를 위한 목사가 되게 한다. 즉, 부목사에게 중요한 것은 담임 목사의 의중이지, 교인들의 생각이 아닌 것이다. 자, 이것이 로마 카톨릭교의 주교제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무엇인가? 개혁가들은 바로 일반 성도들을 위한 목사직의 확립을 위해 그토록 싸웠는데, 오늘날은 그 반대로 가고 있는 것이다.
담임 목사든, 부목사든, 목사는 교인들의 부르심을 받아 청빙되어야 함이 개혁신학의 근본원리이다. 즉, 부목사는 담임목사가 부르는 것이 아니라 교회가 부르는 것이다. 그렇다면 개혁신학을 지향하는 우리교회는 이 원리를 가능한 한 살리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교회의 운영상 담임 목사의 의중과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을 교인들이 청빙하는 것도 교회의 덕이 되지 않는다. 더구나 우리는 교회의 헌법도 존중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법을 찾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아마 부목사는 교회의 전부 보다는 어떤 한 기관을 맞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일 것이다. 그렇다면, 당회에서 부목사를 철저하게 심사하여, 섬기게 될 기관에 속한 성도들에게 물어보게 하는 것은 어떨까? 예를 들면, 중고등부 담당 부목사를 청빙한다면, 부목사의 지원자 중에서 당회가 잘 심사한 다음, 담임 목사와도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사람을 2명 정도 선정한다음, 최종적인 선택은 중고등부 담당 교사들과 학부형들에게 주는 것이다. 이것은 담임 목사가 마음만 먹는다면, 현 교단 헌법 안에서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본다. 이렇게 한다면, 우리는 개혁교회의 근본 원리를 거스리지 않으면서 또한 담임 목사와 부목사의 긴장관계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지 않겠는가 생각해 본다.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 ( 재택알바 / 부업 )으로 월급만큼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곳을 소개합니다.
'기독- 성경연구 > 목회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회자료] 배너공해 와 현장 목회 (0) | 2017.10.07 |
---|---|
각종 영접기도 /순복음교회 영접기도 /사영리 영접기도 (0) | 2017.10.03 |
사도신경에서 말하는 성도의 사귐(성찬과 성도의교제) (0) | 2017.09.27 |
[목회자료] 주일 아침 예배 인도 기도 (목회자용) (0) | 2017.09.04 |
[목회자료] 세례예식 순서 (0) | 2017.08.12 |